본문 바로가기

철도

노면전차(TRAM)의 도입 필요성 및 해외 운영 현황

□ TRAM의 국내 도입 필요성
1. 트램의 재조명 배경
○ 서울시 버스개혁에 의해 확인된 대중교통 성공 가능성
- 중앙전용차로 공간의 안정적 확보 및 교통량 감소
○ 공공교통의 녹색혁명 및 대중교통 만족도의 답보상태
○ 세계적으로 트램 성공사례 : 세계 50여 개국 400여 개 도시에서 운행

 

2. 트램의 효과
○ 지하철과 같은 고급 대중교통
○ 저렴한 건설비 (지하철의 15~20% 수준)
- 영국은 지하철 대비 건설비 10%, 수송능력 25% 수준(영국 왕립교통학회)
○ 지하철에 비해 건설기간 단축
○ 일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교통수단
○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
- 차량중심의 도로에서 보행자 전용공간 확대로 도심 내 보행자 증가
* 보행자 증가로 도로 인접 상가의 활성화
○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도시 미관과 연계(도시위상 제고 및 관광자원 활용)
○ 높은 수송력과 에너지 효율
- 노면전차 한 대의 수송력 : 일반승용차 174대
- 노면전차 에너지 효율 : 일반버스 10배

 

3. 트램 도입의 당위성
○ 메트로와 광역버스 사이의 공극을 커버할 수 있음
- 시간당 방향당 5,000~7,000명 정도 수송
○ 버스 수준의 접근성 제공(도로에 인접 승하차 가능)
○ 도시를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의 도구로 사용 가능(도시의 얼굴)
○ 공급자 중심의 교통 패러다임 → 이용자 편의 위주로 변화
○ 저탄소/무탄소 교통수단 논리에 가장 적합
○ 미래 수요 변화에 적절히 대처 가능(열차 편성 및 편성당 량수 조절)

 

 

□ 각 국의 TRAM 운영 현황
1. 유럽 주요 도시 트램 현황


2. 각 국의 TRAM 도입 실패 사례
○ 영국 세필드
- 지역경제 살리기 대중교통 활성화 일환으로 프로젝트 추진
* 규제완화로 버스개편 없이 경쟁구도로 승객수 감소(버스회사에 매각)
* 노선 선정 불합리로 기복 심한 지형 굴곡노선에 다른 승객 회피
- 당시 신중론 대두 및 행정 미 개입으로 지원 저조
* 부정적인 효과로 궤도계 교통수단 활성화에 부정적 분위기 확산
* 지자체의 독일, 프랑스 대비 대중교통 지원 재원 열악

○ 프랑스 낭시
- 타 도시교통정책과의 연계 미흡 및 운행 미숙
* 세계 최초의 고무타이어 방식 적용(설계 문제로 개업 후 1년 휴업 후 개통)
* 단순한 노선 추가와 첨단기술 적용으로 시스템의 불량 허용범위 벗어남
- 노선 설계의 문제 심각
* 트롤리버스와 트램 변경 포인트가 많아 운행 지연 (무리한 노선 설계, S자 커브)
○ 프랑스 보르도
- 공사 지연에 따른 개통 시기 늦어짐
- 새로운 급전 방식에 따른 초기 고장률 높았음
- 기존 버스 운행 지연 및 트램 운영 미숙
- 초기 과욕적인 계획 수립 : 3개 노선(22km) 동시 개통

○ 일본 우즈노미야
- 버스 사업자의 반대 : 버스회사 경영악화 우려
- 노면전차 도입 반대 모임
- 시장선거에서 쟁점화 (반대를 위한 반대 추진)

 

3. 각 국의 TRAM 도입 성공 사례
○ 영국 런던 TRAMlink (2000년)
- 개요 : 런던 남쪽 지역 동서 연계, 인구 약 34만 명(‘07)
- 문제 : 도로 정체, 지하철 서비스 공백지역, 신시가지 성장 인프라 필요
- 운영 : 3개 노선 39개 정류장, 연장 28km
- 효과 : 연간 2,700만명 이용(‘07), 런던 남부 대중교통 공백지역 해소

○ 프랑스 파리 T3 (2006년)
- 개요 : 파리 최남단 순환선, 인구 약27만명
- 문제 : 도로 정체, 대중교통 서비스 미흡, 도시기능 낙후
- 운영 : 17개 정류장, 연장 7.9km, 4분 간격 20km/h 속도, 12만명/일 수송
- 효과 : 도로 공간(45m) 재분배(Tram,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도시 경관 환경친화성(잔디궤도), 기존 도로 용량 4배 증가
- 성공요인
* 지원 법제도 확립 : LOTI('82) 제정, 교통세 제도
* 교통정책의 패키지 추진 : 도시교통전략으로 타 교통정책과 연계 강화
* 합의 형성 프로세스 : 지역 주민 관계자, 이해 관계자 상호 협의
* 강력한 의사결정 : 스트라스부르 시장(Catherine Trautmann)의 강력한 리더십과 전문가 그룹 활동 등으로 트램 정책의 확산

○ 일본 토야마 (2006년)
- 개요 : 동경 북쪽 동해 쪽, 인구 약 42만명, 52.1km
- 문제 : 자동차 중심도시(보유율 전국2위), 대중교통 서비스 질 저하
- 운영 : 정류장 13개, 연장 7.6km, 저상차량 2량 7편성
- 효과 : 고령화 사회와 친환경 교통의 관광명소, 역 주변 택지개발, 상점가 활성화, 일평균 4,988명 승차
- 성공요인
* 유럽 TRAM 벤치마킹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성공사례 도입
* 최근 기존 노면전차의 흑자 전환 : 도로 정체 트램으로 정시성 확보
* 건설지원 보조제도 개선 : ‘노면전차 주행공간 개축사업’ 등 보조 강화
* 친환경, 인간 중심의 교통전략 수립 : 고령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지속가능 수단

토야마현 트램 운행사진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진방지장치(anticreeper)  (0) 2020.04.22
철도 레일의 훼손 및 시험  (0) 2020.04.21
노면전차(TRAM)의 역사 및 발전  (0) 2020.04.20
철도 레일의 변천 및 재질  (0) 2020.04.20
철도 레일(궤조, rail)  (0) 2020.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