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철도 정거장의 정의 및 종류

정거장의 정의

정거장(station, deport)이라 함은 열차를 도착, 발차시키는 장소로서 여객의 승강, 급유 급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운수, 운전상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정거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장내 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에는 정거장구역표간의 지역이 정거장의 구내(station yard)가 된다. 철도건설규칙에 의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station)

열차를 정지시켜 여객 또는 화물을 취급하는 정거장을 말하며 여객과 함께 화물 취급량이 특히 많을 경우에는 여객역(수소하물도 취급)과 화물역을 분리하여 설치한다.

 

2. 조차장(shunting yard)

열차의 편성과 차량의 점검, 수리, 세차, 유치 및 입환만을 취급하며 열차의 종류에 따라 객차조차장, 화차 조차장이 있다.

 

3. 신호장(signal station)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4. 신호소

정거장이 아니고 수동 또는 반자동의 상치신호기를 취급하기 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

 

 

정거장의 종류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가. 여객역(passenger station)여객 또는 도착된 수소하물만을 취급하는 역이며 대도시에서 여객과 화물의 취급량이 특히 많을 경우에는 여객역과 화물역과를 분리하여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여객역은 대규모이나 지방에서 화물의 집산지가 아닐 때에는 간이한 시설로 여객역을 설치하는 예도 있다.

나. 화물역(freight station)화물만을 취급하는 역으로 화물취급량이 특히 많을 때에 설치한다.

다. 보통역(ordiary station)여객과 화물을 동시에 취급하는 역으로 운전상의 제시설이 된다. 대규모의 역과 운전시설이 없는 소규모의 역이 있다.

라. 객차조차장(coach yard)여객열차의 유치, 재편성, 세차, 소독, 점검 및 수리를 하는 정거장으로 대도시의 역 또는 종단역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마. 화차조차장(shunting yard)화물열차의 조성, 화차의 해방, 입환 및 수리를 하는 정거장이다.

바. 임항(수육연락) 정차장(marine terminal)열차와 배와의 사이를 직접 여객 및 화물의 연결 및 화물의 연락수송을 하는 정거장이다.

 

2. 선로상의 위치에 의한 분류

가. 중간정거장(intermediate station):양종단정거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정거장으로 대부분의 정거장이 여기에 속한다.

나. 종단정거장(terminal station)일반적으로 선로의 종단에 위치하는 정거장을 말하나 선로상의 위치는 종단이 아니라도 운수 운전작업상 열차의 종단이 되는 정거장을 종단 정거장이라고도 한다.

다. 연락정거장(junction station):2이상의 선로가 집합하여 연락운수를 하는 정거장이며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1) 일반연락정거장(junction station)본선과 지선간에 열차의 통과운전을 하지 않는 정거장

2) 분기정거장(branch off station)본선과 지선간에 열차의 통과운전을 하는 정거장

3) 접촉정거장(touch station):2이상의 선로가 접촉한 지점에 공통하게 설치된 정거장

4) 교차정거장(crossing station):2이상의 선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된 정거장

 

3. 본선로의 구내 배선에 의해 분류

가. 두단식 정거장(stubstation):착발 본선이 막힌 종단형으로 된 정거장을 말하며 정거장의 주요건조물은 선로의 종단 쪽에 설치된다.

나. 관통식 정거장(through station)착발본선이 정거장을 관통한 것으로 주요건조물은 선로의 측방향에 설치되며 고가선구간에서는 선로의 하부측에 또 깎기 구간에서는 선로상부측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좌) 두단식 정거장, (우) 관통식 정거장

다. 절선식 정거장(switch back station)산악 등 급구배선이 연속되어 정거장을 설치할만한 완구배를 얻지 못할 때에는 수평 또는 완구배의 선로를 본선에서 분기시켜 정거장을 설치한다.

라. 반환식 정거장(reverse station)구배는 관계가 없고 지형상 이유로 착발선이 반환식으로 된 정거장이나 열차의 운용상으로는 좋지 못하다. 주로 종단정거장에 한한다.

(좌) 절선식 정거장, (우) 반환식 정거장

마. 섬식 정거장(island station)본선로의 사이에 승강장과 정거장 본실을 설치하여 지하도 또는 과선교에 의해 외부와 연결하는 것이 있으나 직통정거장의 변형에는 좋지 않다.

바. 쐐기식 정거장(wedged station)그림과 같이 쐐기형으로 된 정거장의 예는 적다.

(좌) 섬식 정거장, (우) 쐐기식 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