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철도 분기기의 정의 및 종류

철도 분기기

 

□ 분기기의 정의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를 분기장치 또는 분기기(turnout)라 한다. 분기기는 포인트(point, 전철기), 크로싱(crossing or frog, 철차), 리이드(lead)3부분으로 구성된다.

 

 

분기기의 종류(kind of turnout)

 

가. 배선에 의한 종류

1) 편개분기기(simple turnout)가장 일반적인 기본형으로 직선에서 적당한 각도로 좌우로 분기한 것.

2) 분개분기기(unsymmetrical double curve turnout):구내배선상 좌우 임의각도로(예:6:4, 73 ) 분기각을 서로 다르게 한 것.

3) 양개분기기(double curve turnout):직선궤도로부터 좌우로 등각으로 분기한 것으로써 사용빈도가 기준선 측과 분기 측이 서로 비슷한 단선 구간의 분기에 사용함.

4) 곡선분기기(curve turnout)기준선이 곡선인 것.

5) 내방분기기(double curve turnout in the same direction)곡선 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 내측으로 분기시킨 것.

6) 외방분기기(double curve turnout in the opposite direction)곡선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 외측으로 분기시킨 것.

7) 복분기기(double turnout)하나의 궤도에서 3 또는 2이상의 궤도로 분기한 것.

8) 삼기분기기(three throw switch):직선기준선을 중심으로 동일개소에서 좌우대칭 3선으로 분기시킨 것으로 화차조차장에 많이 사용된다.

 

나. 편개분기의 종류

1) 좌분기기(left hand turnout)분기선이 기준선 좌측으로 굴곡분기된 것.

2) 우분기기(right hand turnout)분기선이 기준선 우측으로 굴곡분기된 것.

 

다. 교차(cross)에 의한 종류

1) 다이아몬드(dramond)크로싱두 선로가 평면교차하는 개소에 사용하며 직각 또는 사각으로 교차한다.

2) 한쪽 건늠 교차(single slip switch)1개의 사각다이아몬드 크로싱의 양 궤도 간에 차량이 임의로 분기하도록 건늠선을 설치한 것.

3) 양쪽 건늠 교차(double slip swtch)2개의 사각다이아몬드 크로싱을 사용 양 궤도 간에 차량이 임의로 분기하도록 건늠선을 겹쳐서 설치한 것.

 

라. 교차와 분기기의 조합에 의한 종류

1) 건늠선(cross over):양 궤도 간에 건늠선을 1방향으로 부설한 것.

2) 교차 건늠선(sissors cross over)복선 및 이와 유사한 양 궤도 간에 건늠선을 2방향으로 부설한 것.

 

마. 특수용분기기의 종류

1) 승월분기기(run over type switch)기준선에는 텅레일, 크로싱이 없고, 보통 주행레일로 구성된 편개분기기, 그러므로 분기선외궤륜은 흠선이 없는 주행레일 위로 넘어가게 된다.

2) 천이분기기(continous rail point):승월분기기와 비슷하나, 분기선을 배향통과시키지 않는 것.

3) 탈선분기기(derailing point)단선구간에서 신호기를 오인하는 경우 운전 보안상 중대한 사고가 예측될 때 열차를 고의로 탈선시켜 대향열차 또는 구내진입시 유치열차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간트렛트 궤도(gantlet track)복선 중의 일부 단구간에 한쪽 선로가 공사 등으로 장애가 있을 때 사용되며 포인트 없이 2선으로 크로싱과 연결선으로 되어 있는 특수선을 말한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채로 화차의 적재중량을 계량할 때 사용되는 계량대가 있는 곳에 2조의 포인트와 연결선으로 되어 있는 특수분기기를 사용하는 간트렛트 궤도가 있다. 계량할 때는 선을 사용하고 계량하지 않을 때는 선으로 통과시킨다.

 

바. 분기기 사용방향에 의한 호칭

1) 대향분기(facing of turnout)열차가 분기를 통과할 때 분기기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진입할 경우를 대향(facing)이라 한다.

2) 배향분기(trailing of turnout)주행하는 열차가 분기기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진입할 때는 배향(trailing)이라 하며 운전상 안전도로서 배향분기는 대향분기보다 안전하고 위험도가 적다.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대레일의 역사  (0) 2020.04.29
고속철도(KTX) 시스템의 특징  (0) 2020.04.29
철도차량 사행동 방지와 곡선통과 성능  (0) 2020.04.28
도상의 역할 및 종류  (0) 2020.04.27
철도차량 시스템의 안전성  (0) 2020.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