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철도차량 운전속도의 종류

철도차량 운전속도의 종류

□ 균형속도(Balance speed)

1. 기관차의 견인력과 견인차량의 열차저항이 서로 같아서 등속운전을 할 때의 속도(견인력=열차저항)

2. 가속도가 발생하지 않고, 동일 속도를 유지

3. 견인력이 열차저항보다 클 때 가속되고, 적을 때는 감속된다

4. 최고운전속도는 바로 균형속도에 의해서 결정됨

5. 제한 기울기 결정 시 고려하여야 함

6. 열차저항은 기울기저항, 곡선저항을 포함하므로 선로상태에 따라 균형속도는 달라진다.

 

□ 표정속도(Commercial speed)

1. 전체 운전거리를 정차시간 및 제한속도 운전시간 등을 포함한 운전시분으로 나눈 값

2. 열차속도 향상은 표정속도 향상을 의미

3. 각 속도의 크기 : 최고속도평균속도표정속도

4. 표정속도 = 운전거리 / 순수운전시분 + 도중정차시분

 

 평균속도(Average speed)

- 역간 운전거리를 정차시분을 제외한 운전시분으로 나눈 값

- 주로 기울기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 평균속도 = 운전거리 / 정차시간을 제외한 순수운전시분

 

 최고속도(Maximum speed)

- 운전 중 낼 수 있는 최고속도(5초 이상 지속)

- 교통기관의 이미지 제고상 상징적으로 중요

- 기관차의 성능, 선로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 열차종별, 궤도구조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 프랑스 TGV와 일본의 신간선열차가 최고운전속도 경쟁을 벌이고 있다

- 현재 영업 중인 열차의 최고속도는 350/h

- Maglev(독일, 일본 자기부상열차)의 경우 최고속도 500/h 이상주행

- 점착식(바퀴식) 최고속도 : 2003년 일본신간선 581km, 국내 G7 열차 354km

 ⇒ 향후 동력분산방식으로 400km/h 차세대 열차 개발계획

 

 제한속도(Limit speed, Control speed)

선로조건(곡선부, 분기부) 및 운행선 인접공사, 유지보수 등 여건에 따라 속도를 제한하는 경우의 속도

 

 

 

※ 속도 향상 제약요인

1) 최고속도제한

브레이크 성능

② 차량성능

선로조건

④ 집전조건

소음문제

2) 곡선속도제한

곡선통과 시 원심력이나 강풍 등에 의한 전도 위험

승차감 악화

3) 분기기속도제한

분기기 강도, 승차감, 보수성, 안전성고려

분기부의 캔트 설정 불가로 인한 속도 제한 문제

4) 가감속성능문제

속도제한 전후 개소(곡선 부등)(곡선부등) 신속한 가감속 성능 문제

 

※ 속도 향상 방안

1) 궤도강화

2) 가선방식개량

3) 신호개량

4) 차량성능개선

 

속도 향상 효과

1) 시간가치를 중요시하는 승객 요구에 부응, 수송서비스 향상

2) 철도이용객 증가로 인한 수익증대

3) 차량, 승무원 운용효율 증대

4) 타교통 기관과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