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북한 철도시설

□ 궤도

북한지역 철도는 1906년 경의선이 부설된 이후 광복 당시까지 49개 노선 3,817km가 부설되었으며, 이 중 표준궤간이 38개 노선 3,098km, 협궤 11개 노선 716.6km로 구성되어 있었다. 6.25 이후 웅진선토해선이 북한에 편입, 분단이후 기존 노선의 합병분할노선변경표준궤 개량 등 북한철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광복전의 기존선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광복이후의 큰 변화로 동서 간 연결노선인 평산-세포간 청년이천선, 만포-혜산간 북부선 건설과 팔원선 등 산업선 건설을 들 수 있다. 이외 1960년대에는 홍의-두만강간 9.5km의 철도가 부설되어 시베리아 철도와 연결되게 되었으며, 19656월 청진-라진간 78km가 부설되어 함경북도 북부로 우회하여 러시아로 수송하던 것을 직통으로 연결하게 되었다. 또한 라진항을 통한 러시아 중계화물 처리를 위하여 두만강-라진-청진구간에 러시아의 광궤와 표준궤를 혼합 부설한 혼합선 구간도 운영되고 있다.

간선철도의 표준 하중은 L-18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평의평부선 만은 L-22로 설계되어있다. 간선의 레일 중량은 대부분 50kg/m로 부설되어 있으나, 산간지대나 인입선 들은 37.5km의 경량레일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북한철도는 지형적 특성상 구배가 심하여 만포선의 가고-고인간 25, 혜산선의 백암 일대가 33, 신흥선의 일부 구간에서는 38의 심한 경사도를 나타내고 있.

선로기술은 대부분이 남한철도와 유사한 상태로 침목은 나무 침목과 콘크리트 침목이 병행되고 레일체결은 스파이크식 이외에 크립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레일은 3740506065kg/m 등이 부설되어 있으나, 형식이 독특하여 북한에서 자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일의 대부분은 상부와 옆면 마모가 심하고 이음부분이 불량하며 목침이 상당히 부식되어 하중부담과 궤간 유지에 문제가 많.

도상은 강자갈과 쇄석이 혼합되어 있어 도상의 탄성이 떨어지고 열차하중 부담에 문제가 파악되고 있으며 터널은 아치형으로 측벽과 콘크리트 부식이 심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과 같은 라진-남양간 철도노선 상태가 북한철도를 대표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북한의 철도는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사한 객관적인 내용이라는 측면에서 가치 있는 분석자료이다.

 

전력

북한에는 광복전 경원선-복계산간 53.9Km와 금강산 전철 116.6km 170Km 구간에 전철이 건설되어 있었다. 광복 후 북한은 구 소련 원조로 6.25 이전에 고인-개고간, 양덕-천성간 전철을 건설하였으며, 1958년 평원선 전철화 이후 본격적으로 전철화를 추진하였다. 북한철도의 전철화율은 79%에 달하고 있으며, 1980년에 철도화물 중 전기기관차 견인비중을 85%까지 높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전철구간의 전기방식이 남한은 AC25,000V인 반면 DC3,000V로 차이가 있으며, 북한에서는 최근 전력부족으로 인한 잦은 정전과 전압 강하로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차량

-북한 및 러시아 중국차량을 비교해 보면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북한 및 중국간에는 차체 폭이 동일하여 열차운행에 지장이 없으나, 러시아차량은 남한차량보다 300mm가 넓어 러시아차량이 남한의 철도터널에 접촉될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는 남한차량은 둥근모양, 러시아차량은 삼각모양으로 되어있어 열차조성 시 별도의 장비가 없이는 서로 연결이 불가능하다.

 

<> -북한, 러시아, 중국 객차 제원비교

구 분

한 국

북 한

러 시 아

중 국

궤 간

1.435mm

1,435mm

1,520mm

1,435mm

차 륜 직 경

860

860~915

950

860

연결기 높이

880830mm

890835mm

1,050950mm

880mm

차 체 폭

3,200mm

3,200mm

3,500mm

3,200mm

전차선 전압

AC25,000V

DC3000V

AC25,000V

DC3,000V

AC25,000V

그리고 남-북한에서 각기 운용 중인 동력차량의 제원을 비교해 보면 전기기관차의 경우 남한에서는 AC25,000V를 북한에서는 DC3,000V용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디젤기관차의 경우 최대출력을 낼 수 있는 기관차 중 북한차량은 2,500마력, 남한차량은 3,000마력으로 남한차량이 500마력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다.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시설 상이 구간(남북한) 열차 운행 방법  (0) 2020.05.09
북한의 철도 운영  (0) 2020.05.08
북한 철도노선  (0) 2020.05.06
바닷속 새로운 철길, 해중(海中)철도  (0) 2020.05.05
하이브리드 기관차  (0)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