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철도차량의 소음저감 방안

최근 생활수준의 질적 향상으로 승객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차내 분위기를 요구함에 따라 전차의 경량화 및 고속화 추세에 맞추어 발전하여 차내 승객이 보통목소리로 대화하는데 필요한 소음으로(75이하) 낮추는 목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차소음 발생원

전차의 소음은 전차를 구성하는 각각의 시스템과 관련되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차량의 고유특성, 운전조건(고속, 저속), 선로조건, 궤도조건 등이며 이들을 서로 연관하여 전차소음이라 할 때 전차의 소음원은 운행 중 레일과 차륜의 접촉에 의한 전동음(Rolling Noise), 팬터그래프와 가선의 접촉에 의한 집전, 주행하는 차량의 공기역학적인 메카니즘에 의한 공력음, 견인전동기 공기압축기 인버터 등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구동장치음, 기타 차체구조물 공기조화장치 등에 의한 기타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중 전차의 속도에 따라 중·저속도(200/h 미만)에서는 전동음, 구동장치음, 기타음이 지배적이고 고속차량에서는(200/h 이상) 공력음 및 집전음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음의 전달경로

발생소음은 대차, 차체, 구조물을 통하여 진동의 형태로 차체를 통하여 실내로 전달되기도 하고(구조음 Structure-Borne Nose) 출입구 창틈 개구부를 통하여 직접 실내로 전달(공기음 Air-Borne Nose)되기도 한다. 발생된 소음이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어 차체를 가진 시킴으로서 실내로 유입되는 2고체음(Second Structure-Borne Noise)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느끼는 소음은 공기음과 2차 고체음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음특성

철도차량은 다른 소음원과 달리 복합적인 소음특성을 갖는 외에도 운행환경 여건 즉 궤도, 차륜과 레일표면거칠기, 선로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1. 실내소음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요인

궤도의(Track)의 영향

차륜과 레일의 표면거칠기에 따른 영향

선로의 영향

 

2. 실내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

전차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전차내부 발생 소음원 제어, 차체의 차음성능향상, 널내부흡음, 차량 보조기기 발생소음 제어 등이 대표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저감방안들은 크게 소음원의 관점과 차음/방음의 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소음원 측면으로 볼 때는 소음원의 수를 줄이거나 소음이 작은 단품(또는 장치)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 소음원에 해당하는 것을 차량뿐만 아니고 궤도 구조물도 포함 할 수 있다. 차음/방음 측면에서는 차체가 외부의 주요한 소음원들로부터 주요한 주파수 성분을 차단 반사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거나 터널내부의 흡음처리, 차내 흡음처리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전차 외부 발생 소음원 제어

차체 차음 성능 향상

터널내부 흡음

차량보조기기 발생 소음 제어

 

 

철도차량 소음 권고기준

철도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철도차량에 대해 소음권고 기준을 환경부에서 마련하였다.

철도차량이 정차해 있을 때 소음 기준은 1단계 2011~2013년 전기동차(지하철 등) 70dB, 기관차 81dB, 디젤동차 82dB이며, 2단계 2014~2016년 전기동차 69dB, 기관차 78dB, 디젤동차 80dB, 3단계 2017년 이후 전기동차 68dB, 기관차 75dB, 디젤동차 78dB이다.

철도차량이 주행할 때의 소음기준은 1단계 2011~2013년 전기동차 87dB, 기관차 91dB, 디젤동차 86dB, 객차 83dB, 화차 87dB, 고속철도차량 92dB, 2단계 2014~2016년 전기동차 84dB, 기관차 88dB, 디젤동차 83dB, 객차 82dB, 화차 87dB, 고속철도차량 92dB이다.

2017년부터는 주행소음 기준이 전기동차 81dB, 기관차 85dB, 디젤동차 82dB, 객차 80dB, 화차 82~87dB, 고속철도차량 92dB로 더욱 엄격하게 적용된다.

 

 

저감방안

운전속도 고속화, 레일 보수의 간편화를 위한 선로조건이 현대화되고 있다. 그러나 승객은 소음과 진동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로 소음저감을 위하여 설계 시부터 검토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선로분야에서는 내측궤도에 오일도유기 설치, 웹댐퍼 설치, 흡음재로서 곡선선로 주변 자갈 살포, 벽체에 흡음제 부착, 확대 궤간을 설치하고. 가진력* 저감을 위하여 레일 두부면 평활화(레일장대화, 레일삭정), 진동량 저감을 위한 궤도 질량증대(레일 중량화, 침목중량화, 궤도 슬라브 중량화)을 위한 조치를 강구한다.

 *가진력 : 레일 이음매 또는 불규칙 이상 두부면 통과, 견인시스템 교란, 차륜들간의 지지력 불균 형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힘

차량은 자동운전(ATO) 시스템으로 정밀운전, 대차 현가장치 개선(강체 코일스프링고무스프링), 객실창문 2중 유리로 차음성능 향상, 차륜 미끄럼 방지장치 채용(Anti-Skid), 지속적인 차륜 답면 전삭관리, 바닥 및 벽체에 설치한 점검용 카바 및 전동기 냉각풍의 제거로 차외소음 유입 저감을 위한 조치들이 설계 시 반영되어야겠다. 고속철도에서는 팬터그래프의 공력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터그래프에 바람이 부딪치지 않게 해서 공력소음을 적게 하는 방풍기능이 필요하다.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일의 훼손 및 마모  (0) 2020.05.27
열차속도와 열차저항  (0) 2020.05.26
철도차량 소음의 발생원인  (0) 2020.05.24
철도차량 진동 및 방지대책  (0) 2020.05.23
철도차량의 운동  (0)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