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사병 및 일사병
- 특징 : 열사병 및 일사병은 일단 발생 시 치사율이 높아 열 관련 응급질환 중 가장 심각하다. 체온조절 증추가 외부의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해 기능을 잃으면서 생기는 데 발한기전 등이 망가져 지속적인 체온상승을 보이게 된다.
- 주요증상 : 열사병은 대게 40도가 넘는 높은 체온이 관찰되고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함,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 구역의 증상을 보이며 의식 혼미나 심하면 의식을 잃기도 한다. 일사병의 경우, 열사병과 증상은 비슷하나 땀이 많이 난다.
- 대처방법 : 열사병 및 일사병은 무엇보다 환자의 체온을 빨리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를 차가운 물에 담근다거나 물을 뿌리면서 바람을 불어주는 방식 등이 유효하다. 이때 환자의 체온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의식이 없는 경우 함부로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삼가야 한다. 가급적 빨리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야 하고 이것이 어렵다면 119로 전화를 걸어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열탈진
- 특징 : 고온에 며칠 동안 노출되고 충분한 물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생기며, 특히 노인이나 고혈압이 있는사람, 더운 환경에서 일하거나 운동한 사람에게 잘 생길 수 있다.
- 주요증상 : 과도한 발한, 창백, 근육경련, 피로감, 현기증, 두통, 오심이나 구토증세가 나타나고 피부는 차가우면서 습기를 유지하고 있다.
- 대처방법 : 시원한 그늘로 옮겨와 옷을 느슨히 하고 시원한 물을 마시게 한다. 심할 경우 지체없이 119에 신고해야 한다. 열탈진은 열사병과 증상이 비슷하여 초기 대체에 미흡하면 열사병으로 진행되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 열경련
- 특징 : 열경련은 여름에 많은 땀을 배출한 뒤 생기는 질환으로 땀에 포함된 염분과 수분으로 인해 체내의 나트륨 성분이 부족하게 되어 발생하며, 강한 노동이나 운동 후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 주요증상 : 주로 근육의 경련과 통증을 수반한다.
- 대처방법 : 열경련이 의심되면 일단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하면서 스포츠음료나 나트륨이 포함된 주스 등을 마시는 것이 좋다. 경련이 멈추었다고해서 바로 일을 다시 시작하면 안 되고, 1시간 넘게 지속된다면 바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 열부종
- 특징 :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우리 몸은 열을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을 늘리고 심부의 혈액량은 줄이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게 되면 체표에 순환하던 혈액의 수분들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종을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이 열부종이다.
- 주요증상 : 흔히 다리에 부종이 생기게 된다.
- 대처방법 : 다리를 올린 자세로 휴식을 취하면 쉽게 회복된다.
□ 열실신
- 특징 : 체표면의 혈액순환이 늘어나면 뇌로 가는 혈액량도 부족한 경우가 생기며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경우가 생기는 데 이것이 열실신이다.
- 주요증상 : 보통 의식 상실이 주요 증상임. 열실신이 일어나기 전에 어지럽거나 구역, 발한, 위약감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히 있게 된다.
- 대처방법 : 대개는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스스로 회복된다.
★ 더위를 이기는 방법
- 7시간 이상의 숙면 : 하루 7시간 이상의 숙면은 신체리듬에도 도움을 주고 잠들기 1~2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하는 샤워는 찬물 샤워보다 더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숙면에 도움을 준다.
- 과일먹기 : 여름철 더운 날씨에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전체 혈액의 약 30%가 피부로 몰려 위장이나 근육 활동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쉽게 피로를 느낀다. 수박, 포도, 복숭아에는 비타민c와 각종 미네랄 효소 성분이 많아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주고 몸속 독소를 배출시키는 역할까지 해 더위에 지친 몸을 지켜준다.
- 아이스커피나 탄산음료 줄이기 : 과도한 섭취는 몸을 더욱 피로하게 만든다.
- 낮 12~5시 사이에는 야외할동 및 작업 자제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노동자의 우울증과 스트레스 진단 및 해소법 (0) | 2020.06.30 |
---|---|
열사병과 냉방병의 예방법 및 대처방법 (0) | 2020.06.29 |
살인진드기 감염 증상과 예방법 (0) | 2020.06.28 |
식중독 예방 3대 요령 (0) | 2020.06.27 |
당신의 두 다리가 의사다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