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의 제동은 기관차와 객차 및 화차를 대량으로 편성하여 운행하게 되므로 열차제동이라 하며 이 열차를 일괄 제어하도록 제동 취급 및 제어하는 제동제어기(제동기)가 있다. 제동기의 작동으로 차륜 및 차륜 축에 조립된 답면 브레이크 슈(tread brake shoe)와 디스크 브레이크 라이닝(disk brake lining)에 제동을 작용하기 위한 기초제동장치가 있으며, 공기 제동 계통에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로 구성된다.
압축공기를 제동관(brake pipe)을 이용하여 제동통에 공급하여 제동통 피스톤을 작동시켜 그에 연결된 레버와 로드에 힘을 전달하여 로드와 레버에 연결된 기초제동장치를 통해 제동하는 방식을 공기제동이라 하며, 공기압력으로 제동하는 기계를 공기제동장치라고 한다.
기초공기제동장치는 차륜 답면 또는 디스크에 제동을 취급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슈 및 디스크 라이닝에 압력을 가하는 기구를 말한다.
제동통 피스톤의 로드에서 받은 기계적인 힘인 제동 원력을 기초제동장치의 레버 기구를 거쳐 소정의 제동 배율로 증가시켜 브레이크 슈에 압력을 가하여 제동한다.
이때, 제동 원력을 발생하기 위한 압력공기 공급장치인 공기압축기가 있으며, 7~10㎏/㎠까지 압축하여 주공기통에 저장한 후에 사용하게 된다.
□ 제동의 종류
1. 상용제동(Service Brake)
열차가 운행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제동방식이며, 제동관 감압 또는 전기 지령에 의해 최적의 제동력이 각 제동장치로 인가된다.
2. 비상제동(Emergency Brake)
열차 운행 중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최단 제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체결되며, 비상제동 버튼(Button)에 의한 운전자의 취급 및 제어진단유니트(CCU)의 판단, ATS, ATC, ATP 과속제어, 운전자 경계장치제어(Vigilance Con trol), 열차방호장치, 주공기 압력저하, 차량분리, 주행 중 승강문 개방 시, 제동제어 회로차단 등의 비상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되다.
3. 주차제동(Parking Brake)
주차제동장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압축공기가 없는 상태에서도 가능하며, 주차제동장치의 스프링 반력에 의해 제동이 체결되며, 운행선로 어느 위치에서나 주차가 가능하며, 주차제동장치는 수동으로도 완해가 가능하다.
4. 구원제동(Rescue Brake)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에 사용하며 차량 간의 구원뿐만 아니라 제동방식이 상이한 차량과 상호 구원제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원차량과 피구원차량 간의 연결은 제동관(BP)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호구원제동을 위해 구원제동유니트 내에 전기제동지령과 BP압력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5. 보조제동(Auxiliary Brake)
차량으로부터의 정상적인 상용/비상 제동제어 지령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제동불능상태로 진행되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보조적인 제동 지령계통을 확보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6 긴급제동(Urgency Brake) 또는 보안제동
비상제동인가 시 차량의 제동제어유니트의 제동전자제어유니트(ECU)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그 차량에 긴급제동이 체결된다. 제동제어유니트 내의 긴급전자밸브가 직접 구동되어 제동이 인가된다.
□ 제동에 필요한 조건
1. 차량 및 차륜에 균등하게 제동력이 가해질 것.
2. 상용 때는 원활하고 단계적으로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비상 때는 급격히 제동을 체결할 수 있을 것.
3. 장시간 제동을 축중에 대하여 어느 한도를 넘지 않을 것(제륜자 개당 압부력은 3.6ton을 초과하지 말 것)
4. 제동을 체결하지 않을 때는 제동력이 “0"일 것.
5. 열차가 분리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제동 작용이 이루어질 것.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차량 방향전환(전향설비) (0) | 2020.05.20 |
---|---|
철도차량기지 (0) | 2020.05.19 |
철도차량 전기제동 (0) | 2020.05.17 |
내연기관의 발달사 (0) | 2020.05.16 |
전차선로의 보호설비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