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철도차량 방향전환(전향설비)

철도량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한 선에서 다른 선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향설비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전차대

전차대(轉車臺, turntable)는 철도 차량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전차대는 대개 종착역 내지는 차량 기지에 설치된다. 철도차량 중 기관차의 경우 종종 엔진의 배치 등에 의해 편측에 운전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서 시야의 차폐가 크게 발생하는 방향으로(장폐단 운전), 또는 후진 운전을 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된다. 따라서, 종착역이나 주요 차량 기지에서 그 방향을 전환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전차대를 사용한다. 대개 전차대는 기관차의 길이와 중량을 감당할 수 있는 트러스와, 이를 지탱하는 회전축 및 원주 레일, 그리고 차량 운행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로 구성된다. 대개의 설비는 모터 등에 의해서 기계력으로 제어·동작하나, 기관차로부터 증기를 공급받거나 구동장치에 연결하여 동작하는 방식, 혹은 작업원이 직접 인력으로 구동하는 경우도 존재한 바 있다.

 

전차대

 

2. 천차대

천차대(遷車臺, 영어: Traverser)는 철도 차량 등이 옆쪽 선로로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장치이다. 발음의 유사성이나 표기의 유사성으로 인해 종종 전차대(轉車臺;Turntable)와 혼동되기도 하나, 둘은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천차대는 대개 구내가 좁은 차량 기지에서 널리 사용되며, 평행해 있는 차고 또는 기기 시설, 공장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대개 1대 분의 차량이 기기 위에 올라서면, 천차대가 평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위치를 전환하고,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차량이 선로로 내려서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대개 천차대는 시설이 협소한 경우나, 인상선이나 분기기 만을 사용하여 자력으로 선로 간을 이동하기 힘든 경우에 사용하며, 중정비기지 등에서 주로 사용이 된다.

 

천차대

 

3. 삼각선

철도 교통에서 삼각선은 궤도를 삼각형으로 설치하고, 삼각형의 각각 꼭지점에 분기기를 설치한 궤도 배치 방법을 가리킨다. 삼각선 형태의 분기점에서는 열차가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디젤전기기관차, 열차 편성 전체의 방향을 전환시킬 경우 삼각선을 사용한다. 또한 대칭형 철도 차량이라고 해도 양쪽의 마모를 균등하게 맞추기 위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사용된다.

 

삼각선

 

4. 루프선

경사가 심한 곳에서 경사를 완만히 하려고 고리 모양으로 부설한 선로. 같은 지점을 고도를 달리하여 통과시켜 차차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종착역이나 조차장 같은 데서 한 열차의 편성 순서를 바꾸지 않고 진행 방향을 거꾸로 할 경우에도 이용한다. 대표적인 설치장소는 한국철도공사의 수색차량기지가 있다.

 

루프선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차량의 운동  (0) 2020.05.22
고속철도차량(KTX) 관절대차  (0) 2020.05.21
철도차량기지  (0) 2020.05.19
열차제동의 종류  (0) 2020.05.18
철도차량 전기제동  (0) 202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