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89)
철도차량의 승차감 1. 철도차량 승차감의 요소 승차감을 좌우하는 요소에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비롯하여 차내 공간이나 의자의 안락감, 혼잡도, 소음, 환기, 온도, 습도, 풍속, 조명, 색채, 각부의 형상, 촉감 등의 내장 디자인 등 폭넓은 요소들이 있다. 이들 중에서 현재 승객이 가장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차량의 동요나 충격으로 승객이 받는 좌우·상하·전후 방향의 가속도이다. 2. 승차감의 기준 지금까지 승차감의 기준은 차량의 좌우·상하·전후 방향의 진동 가속도의 크기와 주파수에 의하여 승차감을 평가해 왔다. 승객이 느끼는 진동 가속도의 크기는 좌우·상하·전후방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우선 이 3방향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진동 주파수 대역에 따라 느끼는 가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좌우의 경우는 4개의 주파수대로 나..
철도차량 진동감쇄장치(스프링, 오일댐퍼) □ 스프링의 정의 및 특성 1. 스프링 : 탄성을 가진 물체(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려는 성질) 2. 기본 특성 : 동적으로 고유 진동을 가지고 충격을 완화 하거나 진동을 방지하는 기능 3. 철도차량에 사용되는 스프링 : 단순한 물체의 탄성변형을 이용하는 외에 에너지의 흡수 또는 축적을 목적으로 하며 그 탄성을 이용한 것으로 변형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료를 사용한다. 4. 철도차량 스프링의 구비조건 가. 하중과 변형과의 관계가 가급적 일정해야 한다. 나. 탄성 에너지의 흡수 또는 축적이 많아야 한다. 다. 고유의 진동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라. 외부의 진동을 절연하고 충격을 완화하여 주어야 한다. □ 오일댐퍼 기름의 점성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는 액체 스프링으로 충격에 의한 감쇄효과..
철도차량 제동장치의 조건 및 분류 □ 제동장치의 조건 제동은 열차속도 증가를 억제하거나 필요한 장소에 정차시킬 때에 사용된다. 열차를 계획대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동력제어와 더불어 억속, 감속 또는 정지 등이 필요하므로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는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열차의 제동장치로서 그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절대 필요하다. 1. 임의의 지점에 마음대로 정차시킬 수 있어야 할 것 (열차 또는 차량의 정지) 2. 신속하고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할 것 (신속, 정확한 제동작용) 3. 운전 중 필요에 따라서는 마음대로 열차 또는 차량의 속도를 낮출 수 있어야 할 것 (속도의 감속) 4. 정지 중에 있는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는 그 상태를 그대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 (유동방지) □ 철도차량 제동장치의 ..
철도의 분류 1. 동력에 의한 분류 ① 증기철도(증기철도, Steam Railway) ② 전기철도(전기철도, Electric Railway) ③ 내연기관철도(내연기관철도, Internal Combustion Railway) 2. 궤간에 의한 분류 ① 표준궤간철도(표준궤간철도, Standard Gauge Railway) - 1435mm ② 광궤철도(광궤철도, Broad Gauge Railway) - 1520mm(시베리아), 1674mm(인도, 칠레, 아르헨티나) ③ 협궤철도(협궤철도, Narrow Gauge Railway) - 1067mm(일본) 3. 궤도의 수에 의한 분류 ① 단선철도(단선철도, Single Track Railway) ② 복선철도(복선철도, Duble Track Railway) ③ 다선철도(다선철도,..
전기동차의 특징(편성 및 위치칭호) □ 전기동차의 특징 전기동차는 대도시의 근거리 교통수단으로서 높은 운행밀도를 가지고 많은 승객을 신속하게 수송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총괄제어가 가능하다. 전기동차는 각각의 차량을 4량, 6량, 8량, 10량 등으로 조합하여 1개 편성으로 운용할 수 있고 또한 모든 편성의 각 차량을 전부 운전실에서 일괄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일부의 기기는 후부 운전실에서만 제어가 가능하기도 하다. 2. 동력이 분산되어 있다. 전기동차는 여러 대의 기능이 조금씩 다른 차량을 한 개의 편성으로 구성하여 운행하고 있으며 편성된 차량 중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M차 : Motor Car)을 분산 연결하여 객실공간 확보, 축당중량의 분배 등을 고려하고 운행 중 편성차량의 일부 차량에..
전기철도의 분류 □ 직류식 전기철도 일반전력으로부터 수전하는 특별고압(22.9㎸, 154㎸등)의 교류전기를 철도용 변전소 변압기에서 직류(1,500V 등)로 변환하여 전차선로에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세계 전기철도의 약 43%를 점유하고 있다.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과 전기차 운행귀선(주행레일)등으로 급전회로를 구성하고 전압강하, 전류용량 보상대책으로 전차선과 급전선을 병렬로 설치하고 급전 분기선을 소간격(약 250m)으로 시설한다. 사용전압으로는 600V, 750V, 1,500V, 3,000V 등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500V 전압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철도변전소 간격은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대략 4㎞~10㎞마다 운영하고 있다. 직류방식의 특징은 전압이 낮아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고 통신유도 장애..
전기철도 용어의 정리 1) 가고(System Height) 지점에서 전차선과 조가선간의 수직 높이차 2) 가공보호선(Overhead Protection Wire) ACSR 93㎟ 나전선으로 전차선과 조가선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 3) 가공선(overhead line) 전력의 배전용 또는 송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선로. 지중케이블을 매설한 지중선식에 대하여 그 구조가 가공식인 것. 즉, 전주 또는 철탑에 전선로를 가설한 것. 가공선로 또는 가공전선로 4) 가공전차선(overhead trolley line, trolley wire) 궤도의 상공에 가설하여 전기차에 전류를 급전하는 전선. 이 선의 하면을 트롤리폴 또는 팬터그래프(pantagraph)가 접동(摺動)하여 집전한다. 집전자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마모 또는 손상에 지탱할 수 ..
철도차량의 이해 1. 열차의 분류 견인 동력의 유무, 사용 에너지, 수송 대상, 동력의 개수 등(일반적으로 동력차, 객차, 화차) (1) 견인동력의 유무 : 동력차와 기타 ※ 동력차 : 원동기를 가지고 단독(동력차) 또는 자기 이외의 차량과 연결되어 운전되는 차량(제어차와 부수차)으로 기관차, 전동차, 내연동차 및 동력화차의 총칭 (2) 에너지 원에 따른 분류 : 전기차, 디젤차 등 (3) 수송대상에 따른 분류 : 여객차 및 화물차 (4) 동력집중식과 동력분산식 1) 동력집중식 - 기관차가 동력을 가지지 않은 여객차나 화물차를 견인 - 견인하는 여객차 및 화물차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연결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높음 - 여객차 및 화물차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이점 - 원동기의 수가..
열차저항의 이해 및 종류 열차가 출발 또는 주행할 때는 항상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종 저항이 작용한다. 열차의 주행을 방해하는 힘을 열차저항이라 한다. 열차 저항은 극히 복잡하고 많은 인자들이 관계하고 있으나, 중요인자를 열거하면 다음 5개 항목으로 구분된다. ① 차륜과 궤조 간 마찰에 의한 저항 ② 차륜과 베어링 간 마찰에 의한 저항 ③ 공기에 의한 저항 ④ 구배 또는 곡선에 의한 저항 ⑤ 속도를 증가시킬 때 생기는 저항 등 이것들의 저항력의 대소는 선로와 차량의 상태 및 기후 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① 선로상태 : 구배의 완급, 곡선의 대소, 레일의 크기, 노반의 강약, 침목배치수, 도상의 두께, 보수 상태 등 ② 차량상태 : 차량의 구조, 보수상태, 윤활제의 기능, 적하상태, 제륜자 재질 등 ③ 기후조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