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89)
철도 분기기의 정의 및 종류 □ 분기기의 정의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를 분기장치 또는 분기기(turnout)라 한다. 분기기는 포인트(point, 전철기), 크로싱(crossing or frog, 철차), 리이드(lead)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 분기기의 종류(kind of turnout) 가. 배선에 의한 종류 1) 편개분기기(simple turnout):가장 일반적인 기본형으로 직선에서 적당한 각도로 좌우로 분기한 것. 2) 분개분기기(unsymmetrical double curve turnout):구내배선상 좌우 임의각도로(예:6:4, 7:3 등) 분기각을 서로 다르게 한 것. 3) 양개분기기(double curve turnout):직선궤도로부터 좌우로 등각으로 분기한..
철도차량 사행동 방지와 곡선통과 성능 1. 사행동 좌우의 차륜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윤축에서는 곡선통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답면에 구배가 있다. 좌우 차륜의 회전속도는 같기 때문에 좌우의 차륜에 직경 차가 생기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 차륜을 직선의 레일 상에서 굴리면 좌우의 직경차 때문에 윤축이 일정한 파장으로 좌우에 정현파(사인파 : sine wave)를 그리며 사행을 하면서 나간다. 이것이 사행동이다. 사행동의 종류에는 윤축사행동과 대차사행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차륜답면구배가 작고, 좌우레일간 거리와 차륜반경이 크면 사행동파장은 커진다. (1) 윤축사행동 1조의 윤축의 사행동을 1축 사행동이라 하고, 파장(波長)은 궤간과 차륜경에 비례하고, 답면구배(기울기)에 반비례한다. 사행동의 움직임은 좌우 진동과 무게중심 ..
도상의 역할 및 종류 □ 도상의 역할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재료로 일반적으로 쇄석, 사리(砂利) 또는 콘크리트가 사용되며 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널리 노반에 전달할 것 2) 침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충격력을 완화해서 선로의 파괴를 경감시키고 승차기분을 좋게 할 것 3) 침목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경질이고 수평마찰력(도상저항)이 클 것 4) 궤도틀림 정정 및 침목갱환 작업이 용이하고 재료 공급이 용이하며 경제적일 것 □ 도상의 종류와 재료(kind of ballast materials) 도상(ballast)은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대별하며, 자갈 도상은 보통도상과 ..
철도차량 시스템의 안전성 안전에 관계되는 철도차량의 사고는 일반적으로 열차충돌, 열차화재, 탈선, 전복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승객이 다치거나 차량의 진동·소음 등에 의해 승객이나 선로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 차량의 안전성은 신뢰성과 함께 150년을 넘는 철도의 여러 가지 경험을 살린 시스템 구성, 설계기술·제조기술 및 유지보수기술에 의하여 뒷받침되며, 사고·고장방지에 꾸준한 개선 노력과 기술축적으로 확보되고 있다. 철도안전법 제정, 안전계획 수립 및 기술개발과 더불어 안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운용·보수·정보를 설계·제작에 피드백(feedback)함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신기술을 도입하여 안전성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1. 차량의 안전성 확보의 기본적 사고방식 철도안전법을 비롯하여 도시철도법 등 안전과 관련된 ..
콘크리트 침목의 종류 및 특징 콘크리트 침목(concrete tie) 콘크리트 침목은 1880년 불란서에서 고안되었으며 그 후 각국에서 개량개발되었으나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2차대전 이후이며 목재자원의 결핍이 자극이 되어 본격적으로 실용화되게 되었다. 종래 철근콘크리트의 문제점이었던 레일의 체결장치, 전기절연도, 자중의 경량화, 강도의 확보, 균열방지 등이 해결되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콘크리트 침목은 철근콘크리트 또는 P.C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공통된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 장 점 1) 부식의 염려가 없고 내구연한이 길다. 2) 차중이 커서 안정이 좋기 때문에 궤도 틀림이 적다. 3) 기상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4) 보수비가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다. □ 단 점 1) 중량이 무거워 취급이 곤란한 부분적 파손이..
디젤기관차의 견인력을 지배하는 요소 디젤기관차의 견인력을 지배하는 요소는 디젤기관의 마력, 주발전기의 성능, 견인전동기의 성능, 치차비, 동륜상, 하중 및 레일면의 상태 등이 있다. □ 디젤기관 마력 디젤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은 주발전기를 구동하는 외에 보조발전기, 공기압축기, 기관냉각송풍기, 견인전동기 냉각송풍기 및 여과송풍전동기 등 보조장치를 구동하므로 기관에서 발생된 총마력에서 보조장치 구동마력을 감한 것이 주발전기를 구동하여 열차 견인에 충당된 동력이 된다. 이 동력의 발생은 기관조속기와 부하조정기에 의하여 마력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디젤기관의 출력이 주발전기와 견인전동기를 거쳐 열차를 견인하게 되므로 기관의 성능이 열차 견인력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 공전을 배제한 견인력은 열차운행 중 기관마력이 증가될 때 열차속도가 같으면..
목침목의 특징 및 방부처리방법 목침목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침목으로 재질이 단단한 수종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국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참나무, 낙엽송 등은 목재 규격이 작고 다량생산이 되지 않아 사용되지 못하고 동남아산의 케루잉, 기암, 셀레강바루, 캠파스 등의 수종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목침목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 장 점 1) 레일의 체결이 용이하고 가공이 편리하다. 2) 탄성이 풍부하며 완충성이 크다. 3) 보수와 교환작업이 용이하다. 4) 전기절연도가 높다. □ 단 점 1) 자연부식으로 내구연한이 비교적 짧다. 2) 하중에 의한 기계적 손상을 받기 쉽다. 3) 증기기관차의 경우 화상과 소상의 우려가 있다. 4) 충해를 받기 쉬우며 주약해서 사용해야 한다. 5) 갈라지기 쉽다. □ 방부처리방법..
철도차량 진동 발생 형태 및 해결 방안 □ 전·후 진동 1. 발생원 연결기의 완충장치의 스프링에 의해서 1.5~2.5 C.P.S 발생하고 급제동시에는 상당히 승차감을 해치는 일이 있지만 보통의 운전상태에서는 그다지 문제되지 않으며, 차륜의 편심에 의하여 6~10 C.P.S, 대차의 피칭에 의해서 4~7 C.P.S 발생하며 대차의 피칭은 레일이음매에 있어서 차륜의 침하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대차의 중량이 무거운 차량이 짧은레일(10~12m)구간을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문제로 되는 것이 많다. 2. 해결방안 ① 볼스타앵커를 사용한다. ② 대차의 센터 플레이트를 낮춘다. ③ 대차에 대해서 차체를 전후방향에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④ 축 스프링부에 댐퍼를 설치한다. □ 좌·우 진동 1. 발생원 대차의 스프링 및 볼스타 장치에 의하여 0.8 C.P..
침목의 역할 및 종류 □ 침목의 역할 및 구비조건 침목은 레일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지지하며,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차량의 하중을 도상에 넓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레일과 견고한 체결에 적당하고 열차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강인하고 내충격성, 완충성이 있어야 한다. 3) 저면적이 넓고, 동시에 도상다지기 작업이 편리해야 한다. 4) 도상저항(침목의 종․횡이동)에 대한 저항이 커야 한다. 5) 재료구입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6) 취급이 간편하고 내구연한이 길어야 한다. □ 침목의 종류 침목은 사용목적, 재질, 부설법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가.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1) 보통침목(common tie):보통궤도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침목으로 침목의..
철도차량 진동의 종류 및 원인 철도 승객이 쾌적하게 생각하는지 또는 불쾌하게 느끼는지는 진동의 크기, 성질 등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동역학적 이론으로 운행 중 속도, 열차중량, 선로상태 등을 적용 해석하여 승객이 가장 불쾌하게 느끼는 진동가속도(움직임의 변화)를 찾아내어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철도차량 진동의 종류 진동의 종류에는 차체가 강체로 되어 진동하는 것과 차체가 탄성체로 되어 진동하는 것 2가지로 크게 분류하고 이에 따라 진동방향에 따라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으로 분류된다 - 차체가 강체로 되어 진동하는 것 - 차체가 탄성체로 되어 진동 하는 것 ※ 진동의 종류 1. 병진운동 가. 전·후 진동 : X축 방향 나. 좌·우 진동 : Y축 방향 다. 상·하 진동 : Z축방향 2. 회전운동 가. 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