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철도노선
북한의 철도노선은 10여개 기간노선과 90여개의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노선으로는 중국과 연결되는 서부노선, 러시아와 연결되는 동부노선, 평라선으로 대표되는 동서횡단노선을 기본으로 하여 북부내륙으로 순환하는 북부순환노선과 황해남북도를 순환하는 서부순환노선이 있다. 주요간선철도노선을 살펴보면 동서횡단 및 동부노선을 이루고 있는 평라선(평양-나진, 781㎞), 평라선과 고원에서 연결되며, 동부노선을 이루는 강원선(고원-평강, 145㎞), 서부노선을 이루는 평부선(평양-개성, 187㎞)과 평의선(평양-신의주, 225㎞), 동서횡단노선으로 청년이천선(평산-세포, 140㎞), 만포청년선(혜산-만포, 250㎞), 백두산청년선(길주-혜산, 142㎞), 북부 철도와 연결되는 만포선(순천-만포, 303㎞) 등이 있..
선로보수유지관리 및 용어의 정의
열차가 안전하고 승차감이 좋게 주행하기 위해서는, 선로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항상 양호한 상태로 보수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철도 선로는 일반구조물이 탄성한도 내로 설계된 소위 영구 구조물과 달리, 과격한 차량하중과 기상 작용에 의해, 늘 파괴를 받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즉, 차량주행에 의해 레일을 비롯하여 궤도 각부의 모든 재료는 마모, 파손, 부식 등을 일으킴과 함께, 도상의 침하 레일의 휨 등의 소성변형을 일으킨다. 특히 레일의 두부 상면 및 측면의 기하학적 변위는 직접 차량의 주행안정을 크게 좌우할 뿐만 아니라, 철도의 사명인 정확, 신속, 쾌적성의 제기능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궤도의 파괴에 대해서는 선로의 상시 순회검사를 통한 궤도 재료의 갱환과 보수노력의 투입으로 항상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