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녹색교통 신기술 시스템

녹색교통 신기술 시스템 소개

 

□ 도시 내 교통 시스템 - 주요 간선 축적용 시스템

1. 한국형 경량전철

한국형 경량전철

특징 : 고무타이어, 경량 차량, 전용 주행로, 원격제어 가능

상용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12.7km) - 국내 최초 상용화, 무인 시스템

추진사업 : 서울 신림선, 동북선 등 천안시, 김포시(국내), 브라질, 캄보디아(해외)

 

 

2. 차세대 전동차

차세대 전동차

특징 : 직접구동전동기, 첨단 IT 적용 - 수송능력 10%, 차량 신뢰성 20%, 환경 친화성 10%, 유지보수성 20%, 승객서비스 30% 향상 및 에너지 소비 20% 감소

상용화 : 부산 도시철도 - 1호선, 신평~다대포(7.89km), 6편성(48량)

 

 

3.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특징 : 자석의 반발력, 선형 전동기 - 구배 등판능력 향상, 승차감 30%, 부상공극 변동률 40%, 커브 트래킹 60% 향상

상용화 : 인천국제공항

추진사업 :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추진사업

 

 

4. 저심도 지하철도

저심도 지하철도

특징 : 도로 직하부 운행, 도시 친화적 - 천심 굴착, 최소 환승거리, 저상 차량, 경제적 급전, 인프라 최적화(: 광주지하철 2호선)

요소기술 : 독립차륜, 양측식 LIM, 내충격/차음, Section, 전원공급, 비급촉 급전

 

 

□ 도시 내 교통 시스템 - 주요 지선 축적용 시스템

1. 무가선 트램

무가선 트램

특징 : 배터리를 주동력, 무가선 및 유거선 하이브리드 운행, 기존선 호환, 저상, 친환경성, 에너지 효율성, 편리성, 경제성

상용화 : 프랑스, 캐나다, 일본

추진사업 : 서울시, 제주도 등(검토) - 국내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필요

 

 

2. 바이모달 트램

바이모달 트램

특징 : 철도의 정시성 + 버스의 유연성 - 건설비 절감(기존도로), 정시성, 수송능력

상용화 :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

추진사업 : 부천시, 동탄 신도시, 새만금 방조제 등 도입계획 - 철도기술연구원 문제점 보완 필요

 

 

3. 한국형 PRT

한국형 PRT

특징 : 운행시간 지연 없이 무인운전 가능한 소수 정원의 궤도 수송차 - 승객 맞춤형, 환승 편의성(수평/수직)

상용화 : 영국(히드로), UAE(마스다르)

추진사업 : 순천만, 인천국제공항(국내), 두바이, 다벤트리, 산죠제(해외)

 

 

4. 온라인 전기자동차

온라인 전기자동차

특징 : 도로를 충전소로 활용, 실시간 대용량 무선충전(배터리 및 충전 문제 해결)

상용화 : 서울대공원(2.2km), 서울랜드, 여수 엑스포 등 - 연료비절감

추진사업 : 세종시, 제주 중문단지 등(국내), 말레이시아, 미국(해외)

 

 

5. 철도 폐선부지 활용

철도 폐선

특징 : 도심 폐선부지, 순환교통망 구축 - 교통망 건설비 절감, 교통흐름 효율화

상용화 : 해당없음

추진사업 : 동해남부선(경주, 해운대, 창원), 경전선 적용 검토

 

 

□ ‘지역 간교통 시스템

1. 차세대 고속철도

차세대 고속철도

특징 : 최고속도 430km/h, 동력분산형 - 최근 동력분산식 차량 도입 추세(중국, 러시아, 스페인, 이태리)

상용화 : 국내KTX 대체, 신규 해외진출

 

 

2. 신소재 틸팅열차

신소재 틸팅열차

특징 : 차체틸팅, 곡선부 주행속도 향상 - 경량화(복합소재), 200km/h, 최대 8

상용화 : 해당없음

추진사업 : 경부선, 호남선

 

 

3.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특징 : 자석의 반발력, 선형 전동기

상용화 : 중국 푸동공항(최고 430km/h)

추진사업 : 일본 추오신칸센(2027예정)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트랙(Amtrak, 전미 여객 철도공사)  (0) 2020.06.14
절연구간의 설치목적 및 현황  (0) 2020.06.13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0) 2020.06.12
미국 대륙횡단철도  (0) 2020.06.11
열차풍과 미기압파  (0) 2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