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2) 썸네일형 리스트형 누리로 열차의 도입 및 특징 2006년 차량 사업 입찰 시 현대로템, 히타치 제작소를 비롯 몇 개 회사가 제출을 하였다. 당시 거의 모든 철도차량을 독점 납품하고 있었던 대한민국 업체인 현대로템이 될것이라는 예상이 절대 지배적이었으나 SLS중공업과 기술제휴중인 히타치 제작소에 낙찰이 되었다. 따라서 구체, 전장품, 대차 등은 일본 히타치 제작소 공장에서 제작되어 2008년 대한민국으로 이송되었으며, 공조기기, 열차정보제어장치, 신호기기, 보조전원장치, 제동장치 등은 대한민국에서 생산한 품목들을 활용하여 SLS중공업 창원공장에서 넉다운 방식으로 조립생산되었다. 2008년 차량 인도 개시 후 2008년 12월 장항선 전기 철도 개통과 맞춰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었으나 당초보다 약 6개월 이상 늦어진 2009년 1월에서야 차량 인도가 시작.. 동해선이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결될 경우 파급효과 시베리아 횡단철도(TSR : Trans Siberia Railway) - 러시아 연방 내에서 가장 긴 단일 철도망 □ 시베리아 횡단철도(TSR : Trans Siberia Railway)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유럽의 모스크바와 아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총길이 약 9,466킬로미터의 철도이다. 우리나라 경부선의 20배가 넘으며 지구 둘레의 4분의 1에 가까운 거리이다. 거쳐 가는 중요한 역만 하더라도 59개나 있으며 시간대는 7번이나 바뀌는, 말 그대로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이다. 이 철도는 과거 러시아의 경제·군사·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군사적인 면과 경제적인 이유에서 만들어졌다.. 18세기 이후 러시아가 시베리아로 진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난관은 자연환경이.. 고속열차 주행 시 도상자갈 비산방지 대책 철도 선로에서 고속열차 주행 시 안전상 큰 문제의 하나로 도상자갈의 비산 현상을 들 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동절기 적설시에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설빙과 200km/h 이상의 고속 주행시 열차 하부에서 생기는 열차풍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비산된 도상자갈은 선로상을 따라 역 홈이나 선로연변까지 도달하거나 레일 위에 얹히어 차량이 밟게 되어 레일에 상처를 일으켜 열차 안전에 위험을 준다. □ 도상자갈 및 설빙덩어리 부상 원인 열차가 고속으로 선로를 통과할 때에는 열차 전두부에 형성되는 고압부와 후미부에 형성되는 저압부에 의하여 노반에는 순간적으로 극심한 압력변동을 겪게 되며, 이러한 압력변동으로 인하여 관상형의 설빙 덩어리가 부상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산과 충돌을 반복하는 자갈과 설빙 덩어리들은 열차.. PRT(무인궤도택시) 란? □ PRT(무인궤도택시) 란? 제어시스템을 활용해 무인으로 운행되는 전기차량으로 우리말로 ‘개인형 고속 전철’ 혹은 ‘무인 고속 택시’라 불린다. 초소형 차량과 경량 레일 궤도로 구성됐으며, 전체적인 모습은 현재 놀이동산에 설치돼 있는 모노레일과 비슷하다. 공공시설, 놀이공원, 쇼핑센터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돼 부지런히 움직인다고 보면 된다. 설치 방법도 지상은 물론 지상 2~3m 정도 높이도 가능하며, 도심 도로 중앙선에도 놓을 수 있다. PRT가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는 저소음에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첨단 친환경 교통시스템이라는 것이다. 도심 시내를 점령한 차량에서 세어 나오는 배기가스는 대기오염의 주범이다. 전기로 주행하는 PRT는 이러한 배기가스 배출을 줄여주면서 자가용 통행을 억제해 주기.. 일본철도 신간선(신칸센) 기장 자격요건 □ JR 동일본 신칸센 기장이 되는 자격요건 Although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 shinkansen driver differs from company to company, most require applicants to already have a license to drive regular trains. At JR East, new employees generally first become a conductor for at least two years, after which they may choose to train as a driver. 신칸센 기장이 되기 위한 자격은 비록 JR회사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일반열차를 운전할 수 있는 면허증을 이미 소지한 지원자들을 필요.. 선로의 기울기 □ 기울기의 표시 선로의 기울기는 최소곡선반경보다도 수송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 가능한 한 수평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수평으로 하면 큰 토공과 장대터널을 필요로 하게 되어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이 많은 지역에서는 기울기도 많아진다. 그러나 10‰정도보다 완만한 기울기는 기관차의 견인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배수상으로도 필요한 것이다. 기울기의 표시는 각국에 따라 다르나 철도에서는 다음의 3가지 중 천분율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1) 천분율 수평거리 1,000에 대한 고저차로 20/1,000 또는 20‰로 표시하고 한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세계각국철도에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백분율 수평거리 100에 대한 고저차로 표시하며 2/100 또는 2‰로 표기.. 철도 용어 총정리 가고(System Height) 지점에서 전차선과 조가선간의 수직 높이차 가공보호선(Overhead Protection Wire) ACSR 93㎟ 나전선으로 전차선과 조가선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 가공선(架空線, overhead line) 전력의 배전용 또는 송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선로. 지중케이블을 매설한 지중선식에 대하여 그 구조가 가공식인 것. 즉, 전주 또는 철탑에 전선로를 가설한 것. 가공선로 또는 가공전선로. 가공전차선(架空電車線, overhead trolley line, trolley wire) 궤도의 상공에 가설하여 전기차에 전류를 급전하는 전선. 이 선의 하면을 트롤리폴 또는 팬터그래프(pantorgraph)가 접동(摺動)하여 집전한다. 집전자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마모 또는 손상에 지탱할 .. 한국철도의 시작과 함께한 제물포역 1899년 9월 18일 미국에 의해 시작되었다가 일본에 의해 마무리된 노량진~제물포 간 경인선 철도가 개통하면서 한반도에도 기적소리가 울리기 시작했다.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열강들이 인천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오면서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철도가 필요했기 때문에 한반도 주요 도시를 관통하는 경부선이나 경의선보다 경인선이 우선순위로 정해져 건설되면서 그 영광스러운 주인공이 된 것이다.. 여기서 당시 경인선의 종점이었던 제물포는 근대 일본과 대외 조약이 있었던 ‘제물포조약“의 배경으로 한반도에서 한양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근대화를 이루고 있어 경인선의 종점(기점)으로 놓이게 되었고 기록상으로 제물포역은 경인선 인천지역의 최초의 종착역으로 등극하게 된다. 그렇게 100년 철도사의 첫 시작점이 바로 제물포.. 일본철도 운영 현황(JR이란?) 민영화된 일본철도를 운영하는 그룹으로서 6개의 여객철도회사와 1개의 화물철도회사로 분리되어 있다 1872년에 일본 최초의 철도가 개통된 이후 점진적으로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망을 갖추게 되었다. 1949년에는 전국적인 여객과 화물 철도망을 갖추게 되면서 일본국유철도(국철, JNR)가 탄생하였다. 이때부터는 국철에 의해 일본철도는 운영되었으나, 현재 일본철도는 1987년 국철을 분할민영화한 JR그룹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JR그룹은 6개의 여객철도회사, 1개의 화물철도회사, 철도종합기술연구소, 정보처리회사 등으로 나누어져 운영되고 있다. 여객철도회사로는 동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JR동일본), 동해여객철도주식회사(JR동해), 서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JR서일본), 구주여객철도주식회사(JR구주), 북해도여객.. 열차속도와 궤도구조의 상관관계 □ 개 요 1) 철도 선로라 함은 열차 또는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전용통로의 총칭이며 궤도, 노반 및 선로구조물로 구성된다. 2) 궤도라 함은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과 도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로의 중심부분이다. 3) 견고한 노반 위에 도상을 정해진 두께로 포설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설한 후 침목 위에 두줄의 레일을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설한 것이다. 4) 시공기면 아래의 노반과 함께 열차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5) 열차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궤도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레일 및 체결구, 침목, 도상 등이 보다 강화되고 중량화 되어 속도에 대응하는 적합한 시설로서 구조를 만족해야 한다. □ 궤도구조의 구비조건 1) 차량의 동요와 진동이 적어야 한다. 2) 승차감이 양호..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